청년도약계좌 조건 가입방법 완벽정리 2023ver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고 있나요? 아래에 2023년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가입방법 등 관련 정보를 총정리 했습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청년도약계좌가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을 거에요. 지금부터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같이 알아볼게요.

[함께 알면 돈 되는 정보]
📌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청년도약계좌-완벽정리
청년도약계좌 완벽정리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만 19이상 34세 이하 청년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 형성 목적의 금융 상품입니다. 최대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게 되면 만기 시 5,000만 원의 큰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공고문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두 가지 가입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가. 연령 조건

청년도약계좌 연령 조건은 만 19 이상 ~35세 이하인 청년입니다. 2023년을 기준으로 2004~1989년 생이 가입대상입니다. 만약 병역이행을 했을 경우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어 그 만큼의 기간이 늘어납니다. (ex : 2년 군복무했다면 만 37세도 가입 가능)

나. 소득 조건

청년도약계좌 소득 조건은 개인소득 연 6,000만 원 이하여야 하며,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여야 합니다. 개인소득은 근로 소득과 사업 소득 모두 포함입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공무원도 가입 가능합니다.
※ 청년층의 목돈 마련이 목적이기 때문에 소득이 없는 취업 준비생, 대학생 등은 가입 대상에서 제외입니다.
※ 단, 아르바이트는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지원 가능합니다.

▼▼ 중위소득 180%는 얼마일까? ▼▼

2023-기준중위소득

지원내용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의 소득에 따라 월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합니다. 정부에서 3~6%에 해당하는 지원금을 보태주고 5년 간의 은행 이자도 추가됩니다. 소득이 적으면 정부에서 더 많은 지원을 합니다.

개인소득(총급여 기준)본인 납입한도(월)기여금 지급한도(월)기여금 매칭비율기여금 한도(월)
2,400만 원 이하70만 원40만 원6.0%2.4만 원
3,600만 원 이하50만 원4.6%2.3만 원
4,800만 원 이하60만 원3.7%2.2만 원
6,000만 원 이하70만 원3.0%2.1만 원
7,500만 원 이하

청년도약계좌는 자금 운용 형태를 본인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주식형부터 안정적인 예금형, 그리고 채권형까지 본인의 성향에 맞는 운용 형태를 선택하면 됩니다.

뿐만 아니라 총 급여액이 7천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6천3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경우 비과세 혜택 적용됩니다. 기본적으로 금융 상품의 이자 수익에는 보통 15.4%의 세금이 발생하는데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이므로 더 큰 혜택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가. 공통점

두 지원 제도의 공통점은 모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위에 얘기한 것과 같이 비과세 혜택은 이자 수익에 세금을 물리지 않아 더 많은 금액을 수령하게 되는 좋은 혜택입니다.

나. 차이점

두 상품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입 대상이 확대되었다는 점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가입대상은 개인소득 3천6백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천6백만 원 이하인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기준을 완화해서 대상자가 더 많아졌습니다. 그 외에 청년희망적금은 만기가 2년으로 짧고 청년도약계좌는 만기가 5년으로 깁니다.

상품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
대상만 19~34세 청년(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미산입)
운영형식적금투자운용 형태(적금형 등) 선택적금
소득요건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소득 총급여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납입금액최대 40~70만원최대 50만원
지원금소득구간에 따라
3,0%, 3.7%, 4.6%, 6.0%
월지급
1년차 2%, 2년차 4%
만기 시 지급
만기5년2년
비과세비과세

가입 시 유의할 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전 아래의 유의사항을 꼭 참고 바랍니다.

가. 만기 5년

만기가 5년으로 납입해야 하는 기간 일반 적금 상품보다 훨씬 깁니다. 따라서 5년이란 기간 동안 꾸준히 납입할 수 있는지 여부를 본인 스스로 판단해야 합니다.

나. 5천만 원 자산 형성

개인의 소득에 따라 납입할 수 있는 최대 납입금액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기대한 만기 시 수령하는 목돈이 5천만 원이 아닐 수 있습니다. 월 최대 납입 금액인 70만 원을 5년 간 납입했을 경우에 5천만 원을 받게된다는 것을 참고해야 합니다.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출시 예정입니다. 아직 정확한 날짜와 신청 방법은 공고되지 않았습니다. 정확한 신청 날짜와 신청 방법이 나오면 바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2023년

2023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조건 안내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2023 신청방법 서류 등 완벽정리

[자주 묻는 질문]

Q. 청년도약계좌의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

A.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Q. 지자체 상풍과 동시 가입이 가능한가요?

A. 청년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등 자자체 상품과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단,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되어 있다면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만 37세 남성입니다. 2년 군복무를 했는데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신청가능합니다. 2년이라는 병역 이행기간이 제외되므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조건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좋은 혜택의 정부 지원 청책입니다. 본인의 경제 상황을 잘 판단하여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